2024년 11월 23일 (토) 13:0~17:30
성균관대학교 다산경제관 211호 (32211)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비교문화연구소, 연구모임 작은물결, 한국방정환재단
손증상 (부경대) 전조선소년지도자대회 개최와 그 의미에 대한 연구
김윤정 (인하대) 조재호의 입신출세와 색동회
김영순 (연구모임 작은물결) 마해송의 일본에서의 활동과 일본어 작품
염희경 (춘천교대) '신동화' <백일홍 이야기>의 상상력의 원천과 영향에 대한 연구
김제곤 (서울교대) 정순철의 생애에 대한 소고
김미연 (성균관대) 오천석의 <그림 동화> 번역 양상
박진영 (성균관대) 안데르센 번역의 계보와 상상력
<어린이> 창간 100주년 기념
2023년 6월 10일 (토) 13:30~18:00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B313호 (9B313)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비교문화연구소, 연구모임 작은물결
전성규 (전남대) 곽지은 (성균관대) 데이터를 활용한 <어린이> '독자 사회' 변화 연구
김민지 (국립한글박물관) 전시로 풀어낸 잡지 <어린이>: 창간 100주년 기념 기획 특별전 <어린이 나라> 속 뒷이야기
손증상 (경북대) 1920년대 <어린이> 동화극 형성에 미친 '색동회'의 영향
김미미 (국립한글박물관) 일제강점기 학생 잡지 <어린이>의 국어교육적 연구
• 토론 조은숙 (춘천교대)
이여진 (성균관대) <어린이>에 나타난 일기와 아동의 주체적 글쓰기
최장락 (성균관대) 현실과 미래의 글쓰기: 신영철 편집 기간 <어린이>에 게재된 편지를 중심으로
• 토론 김윤정 (인하대)
정주리 감독과 <다음 소희>를 만나다
정주리 감독과 함께
지금 우리 시대의 이야기를 듣는다
다음 시대의 우리를 함께 상상한다
2023년 5월 12일 (금)
성균관대학교 다산경제관 208호 (32208)
14:00~16:20 <다음 소희> 특별 상영
(칸 영화제 비평가주간 폐막작)
16:30~17:30 정주리 감독과의 대화
(정주리 감독, 강유정 영화평론가)
우리 곁에 있는 청소년 노동자들의 인권
<곁에 있다는 것>
김중미 작가, 오세란 문학평론가
다시 ‘어린이 해방 선언’ 100년을 향해
2022 어린이날 100주년
2023 <어린이> 창간 100주년
2023 어린이 해방 선언 100주년
특별 영상: 잡지 <어린이> 창간 100주년 기념 영상
우리 곁에 있는 청소년 노동자들의 인권
• <곁에 있다는 것> 김중미 작가와의 만남
• 김중미 작가, 오세란 문학평론가
어린이 인권의 문화 지형도와 선언의 수행성
• 김화선 (배제대)
• 토론 이기훈 (연세대) 함은주 (문화연대)
어린이 문학과 인권 감수성, 쟁점과 과제
• 조은숙 (춘천교대)
• 토론 김민령 (인하대) 장수경 (목원대)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어린이 인권 의식 변화
• 최은경 (대하초) 장경훈 (덕장초)
• 토론 성나래 (당중초) 이충일 (한마음초)
2023년 5월 13일 (토)
성균관대학교 호암관 104호 (50104)
주최: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비교문화연구소, 한국방정환재단
함께하는 단체: 문화연대, 어린이도서연구회, 어린이청소년책작가연대,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 한국아동청소년학학회
새롭게 읽는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 2
학대받는 어린이를 위한 위안의 노래
2021년 10월 30일 (토) 14:00~18:00
성균관대학교, 온라인
김명옥 (건국대) 방정환 개벽사상의 실천적 텍스트로서 「난파선」 연구
이미정 (건국대) [왕자와 제비]와 [털보 장사]에 나타난 ‘독창적 반복’
김순녀 (김시아, 경기대) 방정환의 [잠자는 왕녀], ‘깨끗하고 고결한 이야기’ 되기: ‘신화’적 이미지와 ‘동화’라는 근대 어린이문학 이미지
염희경 (한국방정환재단) [천당 가는 길], 추방된 ‘원초적 반란자’의 민중성과 ‘회심’의 미학
• 토론 오현숙 (서울대) 조은숙 (춘천교대) 김영순 (아동문학 연구자) 김화선 (배재대) 김경연 (아동문학 평론가) 이정현 (고베가쿠인대학)
다시 읽는 아동문학과 번역
학대받는 어린이를 위한 위안의 노래
2020년 11월 7일 (토) 14:00~17:30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0호 (31310)
식민지 소년의 모험과 성장의 재발견
금보현 (성균관대) 1920~1930년대 아동문학 속 일상의 위기: 방정환․이동규․김내성 작품 속 곡마단 형상을 중심으로
박미혜 (성균관대)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 나타난 폭력성에 대한 고찰
박진영 (성균관대) 악동의 탄생과 방인근 소년소설 <소영웅>
손정일 (성균관대) 한중 양국의 <쿠오레> 번역과 수용: ‘이달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여진 (성균관대) 현덕 소년소설 연구: <집을 나간 소년>과 <광명을 찾아서>를 중심으로
• 토론 김성연 (연세대) 정한나 (연세대) 염희경 (한국방정환재단)
새롭게 읽는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 1
정선희 (고려대) <사랑의 선물> 학술사의 안계(眼界)와 과제
김영순 (아동문학 연구자) [한네레의 죽음]에 투영된 작품 세계 특징
정유림 (1인극 인형극 그림책 연구 및 활동가) 특별 공연 테이블 인형극 <꽃 속의 작은이>
김현숙 (고려대) <사랑의 선물>이 보여준 저본과 번역본의 차이가 주는 의미 고찰: [꽃 속의 작은이]를 중심으로
김순녀 (김시아, 경기대) 샤를 페로의 ‘상드리용’과 방정환의 ‘산드룡’: ‘신데렐라’ 이미지와 번역에 따른 차이
• 토론 박종진 (연세대) 조은숙 (춘천교대) 최윤정 (건국대) 오세란 (충남대) 이미정 (건국대) 장정희 (서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