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2024년 12월 21일 (토) 10:30~18:00
장소: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B320호 (9B320)
주최: 대중 서사와 미디어 연구회
펜실베니아주립대학 아시아학과 · 한국연구소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비교문화연구소
후원: 대산문화재단
제1부 법적 정의와 상상된 정의
박소현 (성균관대) 한국 추리소설 속 팜 파탈의 기원과 여성 혐오의 역사적 맥락
최애순 (계명대) 1970년대 법적 처벌 문제와 대중의 범죄 감각
• 사회 임세화 (성균관대) • 토론 서동주 (서울대)
제2부 욕망하는 살인자
정영아 (조지메이슨대) 살인하는 어머니, 욕망하는 어머니
정혜영 (경북대) 새로운 여성 범죄자의 등장과 일탈하는 여성들
백승숙 (영남대) 고립된 욕망의 건축, 1970년대 범죄소설의 공간
• 사회 임세화 (성균관대) • 토론 이은선 (경상국립대) 이주라 (원광대)
제3부 킬러의 탄생, 새로운 경계 감각
안혜연 (성균관대) <자칼의 날>의 한국적 수용과 ‘국제 킬러’ 캐릭터의 변용 양상
이주연 (펜실베니아주립대) 킬러들의 라운지
• 사회 김미연 (성균관대) • 토론 송치혁 (한국공학대)
제4부 범죄의 재발견
박도희 (성균관대) 김성종 단편소설의 ‘창녀’ 증언하기와 강제된 자살
남상현 (충남대) 1970~80년대 한일 작품 속 영유아 살해 · 유기와 추리소설적 상상력
• 사회 김미연 (성균관대) • 토론 오윤호 (이화여대)
제5부 토론 · 질의응답
• 사회 유재진 (고려대) 박진영 (성균관대)
2024.1.22 (월) 13:00~18:00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B320호 (9B320)
김미지 (단국대) 1930년대 사회주의의 부침과 미국문학이라는 매개
김성연 (연세대) 번역된 성탄: 헨리 반 다이크 <제4박사>의 1920년 조선어 번역에 관하여
김미연 (성균관대) 세계문학의 정전화 과정: 1920~30년대 <더버빌가의 테스> 수용을 중심으로
최은혜 (고려대) 1930년대 마르크시즘의 학술적 전유와 그 조선적 판본: 신남철과 박치우를 중심으로
손총 (성균관대) <엉클 톰스 캐빈>의 동아시아 번역 양상 비교: 이광수의 <검둥의 설움>과 린수의 <흑노유천록>을 중심으로
정한나 (연세대) ethnic-media 혹은 ethnic/media의 재난: 간토대지진 이후 한인 학살에 대한 <신한민보> 보도를 중심으로
• 토론 손성준 (성균관대) 안미영 (단국대) 유승환 (서울시립대) 윤영실 (숭실대)
2024.1.5 (수) 13:00~18:00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B320호 (9B320)
송가배 (서울대) 일본군 점령 시기(1942~1945) 상하이의 문화 통제 기제: 문학 잡지를 중심으로
윤희상 (고려대) 아시아 태평양 전쟁기 남양 · 남방 환상과 일본적 교양주의의 불철저한 조우
이동재 (한양대) 식민 말기 김남천 소설과 경성대화숙의 거리: <등불>의 서간체와 액자 형식을 중심으로
정겨울 (동국대) 줴칭(爵靑) 작품에 나타난 만주국 문학의 모더니티
임세화 (성균관대) 해방과 항쟁: 포스트-식민 민중 주체의 형성과 문학
• 토론 엄진주 (선문대) 오태영 (동국대) 양순모 (연세대) 천춘화 (숭실대) 조윤정 (국민대)
유승환 (서울시립대) 조민주 (동의대)
2023.2.15 (수) 13:30~18:00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210호 (30210)
장효예 (성균관대) <별건곤>의 탈검열 수사(修辭)
박윤아 (성균관대) 김말봉의 <꽃과 뱀>에 나타난 신체성과 환상의 미학
이예찬 (성균관대) 분단된 문학사와 춘원의 ‘반공’: <혁명가의 아내> 다시 읽기
역사첩 (성균관대) 1900년대 쥘 베른 <해저여행>의 동아시아 수용과 번역
전려원 (성균관대) 해방기 차오위 희곡 수용 연구: 오스트롭스키, 차오위, 김광주의 <뇌우>를 중심으로
왕소우 (성균관대) 랜덤 플레이 댄스(R.P.D.)의 해외 수용과 글로컬리티
• 토론 조윤정 (국민대) 나보령 (서울대) 임세화 (동국대) 김미연 (성균관대) 엄진주 (선문대) 임형택 (충남대)
번역의 안과 밖, 동아시아 한국문학
2022.12.23 (금) 10:00-17:30
성균관대학교 국제관 B313호 (9B313)
하시모토 사토루 (존스홉킨스대학) 번역, 패러디, 그리고 동아시아 근대문학의 이중의 기원
김성연 (연세대) 식민지 시기 기독교 출판사의 서구문학 번역과 중국이라는 매개항
손성준 (한국해양대) 번역이라는 고투의 시간: <동백꽃>과 나도향
다나카 미카 (규슈대학) 출판문화를 번역하다: 신문관(新文館)과 일본 출판계
양설 (서울대 박사) <여한십가문초> 편간과 한중 문학 교류
김미연 (성균관대) 번역가 오천석과 세계문학 앤솔러지: <세계문학걸작집>을 중심으로
손총 (성균관대) <춘희>의 한중 번역 양상 비교: 진학문 <홍루>와 린수 <파리다화녀유사>
정한나 (연세대) 엽서를 통한 운동, 엽서에 담긴 주의: <신생활> 소재 <엽서운동>과 <사립검사국>을 중심으로
엄진주 (선문대) 한국전쟁기 지하잠적파 김광주의 반공문학 번역관: <나는 모택동의 여비서였다>에 주목하여
덩첸 (중국해양대학) 한국전쟁 시기 북한의 대(對)중국 번역 기획: 중국어판 잡지 <새조선(新朝鮮)> 연구
앞잘 아흐메드 칸 (경북대 박사) 한국 근대 초창기 인도 소재 문학의 번역 및 수용 1: <해저여행기담>을 중심으로
• 토론: 구인모 (연세대) 이용범 (부산대) 윤영실 (숭실대) 이종호 (고려대) 최진석 (성균관대) 리둥메이 (칭다오빈하이대학)
비담론의 동아시아, 첫 번째: 언어, 횡단, 낙차들
2022.12.16 (금) 10:30~18:00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709호 (31709)
자오잉추 (중산대학) 외국 전장과 사회주의적 글쓰기의 탐색: 중국 전국문련조선파견창작조의 창작 활동과 작품 세계
이용범 (부산대) ‘식민지 국학’과 링구아 아카데미카: 김태준의 일본어 학술논문들
조은애 (동국대) 각색된 동아시아, 식민주의와 냉전의 버전들 사이에서: 해방 전후 김성민의 소설과 영화
장효예 (성균관대) 한중 양국의 후쿠모토이즘 수용: 제3전선파의 방향전환 논쟁과 후기 창조사의 혁명문학
반재영 (와세다대학) 신생국가 남한에 있어 ‘젊음’의 향방: 전후소설, 도의교육, 청년론의 역학 재구성
• 토론 고자연 (인하대) 이상욱 (연세대) 정실비 (도쿄대학) 최은혜 (고려대) 장세진 (한림대)
• 종합 토론 장문석 (경희대) 송가배 (서울대) 정창훈 (동국대)
과학, 테크놀로지, 전쟁의 문학적 표상과 증언
2021.10.29 (금) 13:00~18:10
성균관대학교, 온라인
모희준 (선문대) 일제강점기 친일 미래 가상 소설 연구: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1941)와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1934)을 중심으로
최애순 (계명대) 1950년대 <헨델 박사>의 암울에서 <라이파이>의 영웅 탄생까지
홍덕구 (포스텍) 식민지 시기 '전화' 테크놀로지를 살피는 세 가지 관점: 이중 언어, 젠더화, 가속화
김미연 (성균관대) 식민지 시기 1차대전 소설의 독법: 1930년대 <서부전선 이상 없다>의 수용을 중심으로
배상미 (와세다대) 군사 기지의 여성들과 탈군사화: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 토론 최병구 (경상대) 김미지 (단국대) 임태훈 (조선대) 김성연 (연세대) 이경빈 (서울대)
데이터로 읽는 이인직 소설
2021.8.20 (금) 13:00~17:00
성균관대학교, 온라인
전성규 (성균관대)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수업 좌충우돌기(記)
이인직 소설의 감정론 1: 감정 시각화
허예슬 (성균관대) 최주찬 (성균관대) 이인직 소설의 감정론 2: 감정 계량화
요흔윤 (성균관대) 이인직 소설의 국가 평가
오시의 (성균관대) 이인직 소설의 신분제 시각화
금보현 (성균관대) 김성래 (성균관대) 이인직 소설과 사운드스케이프 분석
김지선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인직 신소설에 드러나는 근대이행기 일상의 발견
김병준(성균관대) 왕빙옥(성균관대) 이인직 신소설의 가족 서사
• 토론 정한나 (연세대) 이경림 (서울대) 곽유석 (성균관대) 류인태 (성균관대) 이행미 (서울대)